준공업지역과 보전녹지지역 뜻과 특징 한번에 알아보기
준공업지역 뜻과 특징 준공업지역 뜻 준공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용도지역 중 하나로, 주로 경공업 및 기타 공업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주거, 상업, 업무 등 다양한 기능을 보완하는 지역을 지칭합니다. 이는 도심과 주거지역 사이에 위치하여 도시의 기능적인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. 특징 다양한 건축물 허용: 준공업지역 내에는 공동주택, 근린생활시설, 판매시설, 운수시설, 의료시설, 교육연구시설, 노유자시설, 수련시설 등 다양한 건축물이 허용됩니다. 또한 일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단독주택, 공장, 문화시설, 종교시설 등도 건설할 수 있습니다. 건축규제: 건폐율은 70% 이하이며, 용적률은 200% 이상 400% 이하여야 합니다. 이에 어긋나는 건축물..
2024. 3. 8.
생산관리지역과 생산녹지지역의 뜻과 특징 건축규제 알아보기
생산관리지역과 생산녹지지역: 도시 토지의 활용과 보전 생산관리지역 뜻과 특징 생산관리지역은 도시 토지의 용도 중 하나로, 농업, 임업, 어업 등의 생산활동을 위해 필요한 지역입니다. 이러한 지역은 생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관리되며, 보존녹지지역과 자연녹지지역과는 달리 생산 활동에 중점을 두고 지정됩니다. 주로 농업 및 임업 생산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며, 도시 지역의 발전과 함께 산업적 발전을 지원합니다. 건축규제와 용도 생산관리지역 내에서는 주로 4층 이하의 건물만을 건설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건물들은 주로 단독주택, 초등학교, 운동장, 창고, 교정 및 국방시설, 발전시설 등입니다. 또한 건폐율은 20% 이하, 용적률은 80%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형질변경 허가면적은 3만 제곱미터 미만으로 규..
2024. 3. 8.